국민권익위원회가 2022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를 평가한 결과, 제약‧바이오산업 허가‧규제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하위 등급인 4등급에 책정되는 등 반부패 노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국민권익위는 지난 26일 ‘2022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와 기관‧유형별 등급을 발표했다. 국민권익위는 기존 청렴도 측정과 부패방지 시책평가를 통합한 새로운 종합청렴도 평가체계를 수립하고 2022년도부터 적용했다고 설명했다.국민권익위에 따르면, 이번 평가 결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4등급을 받았다. 1~5등급 가운데 최하
소액주주들과 경영권 분쟁을 겪은 휴마시스가 화장품 제조 및 경영컨설팅 업체 아티스트코스메틱을 새 주인으로 맞이한다.휴마시스는 차정학 대표가 아티스트코스메틱에 보유 지분을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7일 밝혔다.이번 계약에 따라 아티스트코스메틱은 차 대표 및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약 259만주(전체 지분 대비 7.65%)를 주당 2만5,060원에 인수한다. 총 650억원 규모다.계약이 완료되면 아티스트코스메틱이 휴마시스의 최대주주가 된다. 아티스트코스메틱의 최대주주는 미래아이앤지다.이번 계약에 따라 차 대표 및 특수관계인은 임시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 교수가 최근 온라인투표를 통해 ‘일터건강을 지키는 직업환경의학과의사회’(이하 직업환경의사회) 제4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23년 2월부터 2년이다.직업환경의사회는 지난 2017년 2월 회원들의 권익 보호와 일터의 보건문제, 사회적 과제에 전문가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 창립됐다.강모열 교수는 “회원들의 힘을 하나로 모아, 2년 후에는 직업환경의사회의 창립 목적에 좀더 가까워져 있는 모습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대웅제약이 씹어 먹는 발기부전 치료제 ‘누리그라츄정(성분명 실데나필시트르산염)’ 국내 품목허가를 자진 취하했다. 대웅제약은 누리그라 정제 및 구강붕해필름 판매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24일 대웅제약의 저작정(츄어블정) 제형 발기부전 치료제 ‘누리그라츄정50mg/100mg'의 국내 품목허가가 취소됐다.누리그라츄정은 실데나필 성분의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 제네릭 의약품으로, 물과 함께 복용해야 하는 정제와 달리 물 없이도 씹어 먹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대웅제약은 지난 2013년 1월 식약처 품목
SK케미칼이 의료 정보 플랫폼 ‘스마트키(Smart-Key)’와 연계한 기부 프로그램을 진행했다.SK케미칼은 스마트키와 연동한 포인트에 따라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에 1,000만원을 기부했다고 27일 밝혔다.스마트키는 Pharma 사업 부문에서 운영하고 있는 비대면 의학 정보 플랫폼으로, 코로나19 이후 제약사와 의료계가 점차 면대면 의학정보 전달이 어려워짐에 따라 SK케미칼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온라인 의학 정보 플랫폼이다.의료인들이 의학 및 의약품 정보 동영상을 시청하는 등 스마트키 내에서 활동을 하게 되면 포인트가 쌓이고, 포인트는
GC녹십자의료재단은 오는 2월 6일부터 9일까지 두바이 월드트레이드센터에서 열리는 국제 진단 전문 전시회 ‘Medlab Middle East 2023(이하 메드랩)’ 전시회에 참가한다고 27일 밝혔다.올해로 7회를 맞은 메드랩은 중동 및 아프리카 국가를 중심으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진단 전문 전시회다. GC녹십자의료재단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메드랩에 참가해 중동 진단검사 시장에서의 선제적 입지를 강화하고 추가 사업 확장을 도모할 계획이다.이번 전시회를 기점으로 GC녹십자의료재단은 기존의 검사 수탁 서비스에 이어 랩 컨설팅 서비스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인프라가 미흡한 해외 국가에 빠르게 R&D 및 생산 기반을 구축할 파트너십을 제안했다.SK바이오사이언스는 안재용 사장이 지난 25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의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2023 리야드 글로벌 메디컬 바이오테크놀로지 서밋’에 참석,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한 넥스트 팬데믹 대비(Preparing for Next Pandemic through Global Partnership)‘를 주제로 세션 발표를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2021년 9월 처음 개최돼 올해로 2회째를 맞은 리야드 서밋은 미국, 유
엘에스케이글로벌파마서비스(LSK Global PS)는 2023년 조직개편을 통해 서비스 특성에 따른 통합 디비전을 신설했다고 밝혔다.이번 조직개편으로 CTM(Clinical Trial Management) 본부와 PM(Project Management) 부서는 CR(Clinical Research) 디비전으로 통합 운영되며, CDM(Clinical Data Management)본부와 PV(Pharmacovigilance) 부서는 D&S(Data & Safety) 디비전으로 통합돼 운영된다.또한 의뢰사(Sponsor)의 임상시험 계약
보령(구 보령제약)이 오는 3월 소세포폐암(SCLC) 치료 신약 ‘젭젤카주(성분명 러비넥테딘)’를 국내에 출시할 예정이다. 국내 소세포폐암 2차 치료제가 제한적인 가운데 치료 옵션 확대에 대한 기대가 모인다.27일 보령과 의료계 등에 따르면, 보령은 오는 3월 젭젤카를 국내에 출시할 예정이다. 젭젤카는 스페인 제약사 파마마(PharmaMar)가 개발한 항암 신약이다. 국내에선 보령이 지난 2017년부터 국내 개발 및 독점 판매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현재 보령은 젭젤카 국내 출시 준비에 한창이다. 지난해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젭
HK이노엔이 중남미 최대 의약품 시장인 브라질에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을 기술 수출했다.HK이노엔(HK inno.N)은 최근 브라질 대형 제약사 ‘유로파마(Eurofarma)’와 케이캡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케이캡은 HK이노엔이 개발한 P-CAB 계열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이다.HK이노엔은 계약금과 함께 허가 및 출시 등 단계별로 기술료를 수령하고, 매출에 따라 로열티도 받는다. 계약 기간은 브라질 현지에 제품을 출시한 후 10년이다. 다만, 양 사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식약청(SFDA)에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염산염)’의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26일 밝혔다.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 Global MIDAS)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의 항궤양제 의약품 시장규모는 글로벌 12위인 4,100억원이다.대웅제약은 이번 품목허가 신청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펙수클루 품목허가를 획득함과 동시에 걸프협력회의(Gulf Cooperation Council, GCC) 국가 진출의 교두보
안국약품과 안국문화재단은 안국약품 대림동 본사 내 AG갤러리에서 오는 2월 28일까지 신년 테마기획전으로 ‘묘한 감수성 展’을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신년 테마기획전은 안국약품이 후원하고 안국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AG갤러리에서 매년 개최하는 행사로, 이번 전시는 한국화를 중심으로 작업하는 작가들의 경험과 내밀한 감정을 전할 예정이다.박춘화 작가는 현실 속에서 느껴지는 공허함과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오는 불안한 감정들을 회화의 세계로 각인해 익숙하게 만들어 새로운 심리의 결을 완성해 간다. 박 작가의 작품 〈펜스〉는 울타리 속에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오는 2월 1일 오후 2시 '알고싶어요! 신장이식'이라는 주제로 실시간 온라인 건강강좌를 개최한다.이번 건강강좌는 활발하게 진행되는 혈액형 부적합 이식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강좌에서는 ▲장기이식센터장인 박순철 교수(혈관·이식외과)의 장기이식센터 소개 ▲신장이식 개요 및 서울성모병원 신장이식 현황 ▲신장내과 정병하 교수의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에 대한 내용으로 진행될 예정이다.실시간 온라인 강좌로 유튜브(https://youtu.be/UT-Ne3dzhHw)를 통해 진행되며 유튜
넥스트젠바이오사이언스(이하 넥스트젠)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특발성폐섬유증(IPF) 치료제 후보물질 ‘NXC680’이 희귀의약품(Orphan Drug Designation, ODD)으로 지정받았다고 26일 밝혔다.미국 FDA는 희귀·난치성 질병의 치료제 개발 및 허가가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지원하는 희귀의약품 지정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면 임상시험 승인 및 허가 기간 단축, 전문의약품 허가 신청비용 면제, 세금 감면, 허가 취득 후 7년간 시장 독점권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넥스트젠에 따르면 NXC
이연제약과 뉴라클사이언스가 공동 개발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캐나다 1상 임상시험이 종료되면서 후속 임상 여부에 이목이 집중된다.뉴라클사이언스는 알츠하이머 치매 등 퇴행성 신경질환 항체치료제로 개발 중인 후보물질 ‘NS101'의 캐나다 1상을 공식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1상 결과 안전성과 약동력학 주요 지표를 충족했고 후속 임상 진행이 가능함을 입증했다는 게 뉴라클사이언스 측 설명이다.뉴라클사이언스는 캐나다 1상을 통해 건강한 성인 자원자 64명을 대상으로 NS101 정맥투여 후 2개월 동안 시험대상자들을 추적 관찰해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일본에서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성분명 베바시주맙)’를 출시했다.베그젤마는 지난해 9월 일본 후생노동성(MHLW)으로부터 전이성 직결장암, 비소세포폐암, 전이성 유방암 등 주요 적응증에 대한 판매 허가를 획득했다.아이큐비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일본 베바시주맙 시장 규모는 7억 8,211만 달러(약 9,000억원)에 달한다. 단일 국가로는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시장이다.셀트리온헬스케어는 일본에서 베그젤마가 적응증으로 삼고 있는 암질환의 경우 바이오시밀러에 우호적인 DPC(Diagnosi
이성훈 전 JW중외제약 부회장이 25일 별세했다. 향년 92세. 탁정자 부군상. 이유석 (주)크로스홀딩스 대표이사, 이유상 (주)디오데오 대표이사, 이유찬 (주)이코리아 대표이사 부친상.▲발인 : 1월 28일(토) 오전 8시 30분▲빈소 :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특실2호(02-2227-7500)▲장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선산
셀트리온이 영국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개발사 '익수다 테라퓨틱스(Iksuda Therapeutics, 이하 익수다)'에 대한 투자를 진행하며 공동 최대주주 지위에 올랐다.셀트리온은 미래에셋그룹과 함께 익수다에 대한 지분 투자를 통해 총 47.05%의 최대지분을 확보했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이번에 진행된 양 사의 시리즈A 투자 규모는 총 4,700만 달러(한화 약 530억원)다.셀트리온과 미래에셋그룹은 지난 2021년 6월 익수다에 대해 시리즈A 투자를 진행하기로 계약한 바 있다. 당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하 재단)은 제3대 이사장으로 박인석 전(前) 보건복지부 실장이 1월 25일 자로 취임했다고 밝혔다.신임 박인석 이사장은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연금정책국 및 보육정책관 국장, 사회복지정책실 실장 등을 역임해 보건복지 분야에 대한 폭넓은 식견과 탁월한 안목을 겸비한 것으로 알려졌다.또한, 외교부 주칠레대사관 공사 겸 총영사로 근무하며 한국 보건 산업의 해외 진출에도 기여한 바 있다.박인석 이사장은 1월 25일부터 오는 2026년 1월 24일까지 3년간 재단의 임상시험 지원 관련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재단은 지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병원장 홍승모 몬시뇰)은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실시한 ‘제1차 치매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은 95점으로 전체 평균 72.9점, 상급종합병원 평균 88.5점보다 크게 상회했다.이번 평가는 지난 2021년 10월부터 2022년 3월까지의 진료분에 대해, 신규 치매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치매치료제를 처방한 전국 889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평가항목은 4개의 평가지표와 5개 모니터링지표다. 평가지표는 ▲신규 치매 외래환자의 담당 의사 중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